회로이론 - 차동 증폭기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7:32
본문
Download : 회로이론 - 차동 증폭기 실험.hwp
회로이론 - 차동 증폭기 실험
다.





를 통하여 공통모드 신호 제거비를 구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에서도 에 의한 증폭된 차상신호와 에 의한 증폭된 동상신호의 위상이 같기 때문에 더욱 큰 증폭된 신호를 볼 수 있었다.
순서
또한 세 번째 test(실험) 에서는 이상적인값은 0이지만 실제로는 0에 가깝지만 0이 되지는 않았다. 에서는 에 의한 증폭된 차상신호와 에 의한 증폭된 동상신호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쇄되어 더 작아진 신호를 볼 수 있었다.
3, 정전류원을 갖는 차동증폭기는 CMRR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이해한다.
Download : 회로이론 - 차동 증폭기 실험.hwp( 85 )
1. 차동증폭기의 동작 원리를 이해한다. 그리고 다음의 식
1. 차동증폭기의 동작 원리를 이해한다. 2. 동상제거비(CMRR)를 조사한다.
test(실험) 은 같은 과정을 두 번하는 것이었는데, 다른 하나는 를 정전류회로로 대체하였다.
세 번째로 각 과 에 위상차가 나지 않는 정현신호를 인가하였을 경우, 에서는 에 의한 증폭된 차상신호와 에 의한 증폭된 동상신호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쇄되어 더 작아진 신호를 볼 수 있었다. 가 높을수록 CMRR이 증가하는데, 저항을 높이면 전류의 흐름에 무리가 있기 때문일것이다 측정(測定) 된 값들은 실제 계산값에 비교하여 보다 작게 측정(測定) 되었다.
2. 동상제거비(CMRR)를 조사한다.
첫 번째로 한 부분의 에만 바이어스를 가하고 반대쪽을 접지시킨 경우, 바이어스를 가한 쪽의 저항은 증폭된 차상신호를 볼 수 있었고, 접지시킨 쪽의 저항의 증폭된 동상신호를 볼 수 있었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설명
결국 전압이득은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진 두 정현신호를 바이어스 시킨 가 가장 컸으며, 같은 위상을 가진 두 정현신호를 바이어스 시킨 가 가장 작았다.
회로이론,차동 증폭기 실험
두 번째로 각 과에 위상차가 180도 나는 정현신호를 인가하였을 경우, 에서는 에 의한 증폭된 차상신호와 에 의한 증폭된 동상신호의 위상이 같기 때문에 더욱 커다란 증폭된 신호를 만들었다. 3, 정전류원을 갖는 차동증폭기는 CMRR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