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8:41
본문
Download :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hwp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745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B%AF%B8%EC%83%9D%EB%AC%BC%EA%B3%B5%ED%95%99%5D%EB%B0%94%EC%9D%B4%EC%98%A4%EB%A9%94%EC%8A%A4%5BBiomass-7458_01.gif)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745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B%AF%B8%EC%83%9D%EB%AC%BC%EA%B3%B5%ED%95%99%5D%EB%B0%94%EC%9D%B4%EC%98%A4%EB%A9%94%EC%8A%A4%5BBiomass-7458_02_.gif)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745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B%AF%B8%EC%83%9D%EB%AC%BC%EA%B3%B5%ED%95%99%5D%EB%B0%94%EC%9D%B4%EC%98%A4%EB%A9%94%EC%8A%A4%5BBiomass-7458_03_.gif)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7458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B%AF%B8%EC%83%9D%EB%AC%BC%EA%B3%B5%ED%95%99%5D%EB%B0%94%EC%9D%B4%EC%98%A4%EB%A9%94%EC%8A%A4%5BBiomass-7458_04_.gif)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7458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B%AF%B8%EC%83%9D%EB%AC%BC%EA%B3%B5%ED%95%99%5D%EB%B0%94%EC%9D%B4%EC%98%A4%EB%A9%94%EC%8A%A4%5BBiomass-7458_05_.gif)
Download :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hwp( 50 )
목재를 가공하거나 사용 후 폐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목재 폐기물로서 원목 및 목재품 가공 시 발생하는 목재잔여물과 목제품으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목재로 구분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나무와 이에서 파생된 제품 및 폐기물로 한정하기로 한다.
※ 폐기목재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
㉡ 피해목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 산업화임목폐기물
도로공사, 도시건설, 산업단지건설 등과 같은 토목공사 및 건설공사 과정에서 벌채 제근으로 인해 발생하는 목재 폐기물로 주로 잔가지, 뿌리로 구성된다. 조재율은 주벌, 수종갱신 및 기타를 벌기령 40년생을 기준으로 0.85, 간벌은 20년생을 기준으로 0.6을 적용한다.
㉠ 임지폐목재
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란 농작물, 목재, 폐목재 또는 부산물, 식물 잔디, 잔류섬유, 축산분료, 도시쓰레기 등의 재생에너지로 쓰일 수 있는 모든 유기물 중 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으로 구성된 목질계 자원으로 주로 목본식물과 초본식물을 의미하며 이들에서 파생된 제품이나 그것의 폐기물 즉 목재, 폐목재, 종이 등을 포함한다. 2000년에 임목폐기물이 건설폐기물로 분류되고 매립•소각에 의한 처리가 금지되어 관련 산업은 아직 시장형성단계에 있다.
산불,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와 병해충으로 인해 발생하는 목재 폐기물로 주로 나무줄기나 잔가지로 구성된다.
● 임목폐기물
순서
[미생물공학]바이오메스[Biomass]
● 폐목재
설명
주벌이나 육림 등의 산림작업으로 발생하는 폐잔재로서 임지폐목재의 발생량은 산출된 벌채량에 조재율을 적용하여 산출된다. 폐기목재는 다시 목재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임목폐기물과 목재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폐목재로 구분된다.
산업활동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산림훼손으로 인해 발생하는 목재 폐기물을 의마하며, 발생원에 따라 산업화임목폐기물과 피해목으로 구분된다.
산림훼손으로 발생하는 목재 폐기물이나 산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목재 잔여물, 그리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목재를 의미한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그 자체를 사용할 목적으로 확보한 벌목재와 다른 목적이나 다른 활동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기목재로 구분된다
임지폐목재발생량=(1-조재율)/조재율*원목량
목재관련 사업장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목재로서 제제, 합판, 펄프 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1차 가공폐목재와 가구, 악기, 건구재 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2차 가공폐목재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나무와 이에서 파생된 제품 및 폐기물로 한정하기로 한다.
㉡ 산업가공폐목재
목질계 바이오매스란 농작물, 목재, 폐목재 또는 부산물, 식물 잔디, 잔류섬유, 축산분료, 도시쓰레기 등의 재생에너지로 쓰일 수 있는 모든 유기물 중 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으로 구성된 목질계 자원으로 주로 목본식물과 초본식물을 의미하며 이들에서 파생된 제품이나 그것의 폐기물 즉 목재, 폐목재, 종이 등을 포함한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그 자체를 사용할 목적으로 확보한 벌목재와 다른 목적이나 다른 활동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기목재로 구분된다.